유재수·조국 같은날 부른 檢…‘靑 감찰무마’ 윗선 본격 조준

By buzz - 11월 21, 2019

유재수·조국 같은날 부른 檢…‘靑 감찰무마’ 윗선 본격 조준

기사입력2019.11.21. 오후 12:01

최종수정2019.11.21. 오후 2:11

검찰이 21일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을 전격 소환해 뇌물수수 혐의 등에 대한 조사에 들어간 가운데 청와대 특별감찰 무마 의혹 규명으로 수사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 11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 부산시 국정감사에 출석한 유 부시장(왼쪽)과 지난달 24일 부인 정경심 교수를 접견하기 위해 서울구치소를 방문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모습. 뉴시스 연합뉴스

조국 靑 민정수석 재직시절

유재수 특별감찰 돌연 중단

민정수석보다 ‘윗선’ 일수도

유재수 자택 등 압수수색 통해

금융위 국장때 업체유착 확인

유재수 부산시 경제부시장의 뇌물 및 금품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개인 비위 입증을 넘어 ‘청와대 민정수석실 감찰 무마 의혹’의 전모를 밝혀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당초 민정수석실 특감반 감찰 당시 민정수석이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도 유 부시장에 대한 감찰을 승인했던 것으로 알려져 최소한 민정수석보다 윗선이 개입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찰을 무마하는 데 개입한 ‘청와대 윗선’이 과연 누구인지에 대한 비상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부장 이정섭)는 21일 검찰에 출석한 유 부시장을 상대로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혐의에 대해 우선 추궁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유 부시장이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실제로 업체들과 유착이 있었다는 점을 확인하고 ‘감찰 무마 의혹’ 규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검찰은 최근 서울 강남구에 있는 유 부시장의 자택과 부산시청 관사뿐 아니라 2017년 말까지 유 부시장이 금융정책국장으로 일했던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금융위 사무실도 압수수색을 마친 상태다. 또 검찰은 강남구에 있는 중견 건설업체 A 사, 신용정보업체 B 사, 벤처투자업체 C 사, 사모펀드운용사 D 사, 인천 소재 전자부품회사 E 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관련자들을 소환해 조사해왔다.

검찰은 최근 업체 관계자 조사 과정에서 유 부시장에게 골프채와 이코노미 항공권 등을 지급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앞서 벌어진 청와대 특감반 감찰에서는 유 부시장이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으로 근무하던 지난 2017년 출퇴근과 회식, 해외 출장 등에서 업체들로부터 각종 편의를 받고, 자녀 유학비와 항공권 등 금품을 수수했다는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수수 내용을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최소 3000만 원 이상에 해당될 수 있는 만큼 검찰도 유 부시장에 대해 특가법상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 2017년 하반기에 진행되고 있던 청와대 특감반의 유 부시장 감찰은 같은 해 12월 돌연 중단됐다. 특감반은 2∼3차례에 걸쳐 유 부시장을 직접 조사했으며, 1개월여에 걸친 휴대전화 포렌식 등을 통해 비위 의혹을 입증할 만한 증거까지 확보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조 전 장관도 원래는 감찰을 승인했던 것으로 전해져 민정수석 이상의 윗선에서 감찰 중단 지시가 내려졌다는 의혹이 나온 상태다. 유 부시장은 청와대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수행비서를 지냈다. 올해 2월 감찰 중단 및 무마 의혹을 폭로했던 청와대 특감반 출신 김태우 전 수사관은 “(유 부시장 자녀에게 흘러간 것으로 보이는) 해외 송금 내역을 조사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 직후 감찰이 중단됐다”고 주장했다.

서종민 기자 rashomon@munhwa.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21/0002408962

  • Share:

You Might Also Like

0 개의 댓글